전기는 어렵지 않다

44. PPA(전력수급계약)란? 전력구매계약의 모든 것! 유형, 장점·단점, 기업 활용 사례

hoopen 2025. 2. 6. 22:52
반응형
PPA(전력구매계약)란? 개념, 흐름도, 장점 및 최신 정책

PPA(전력구매계약, 전력수급계약)란? 개념, 흐름도, 장점 및 최신 정책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와 기업의 RE100 이행을 위해 중요한 PPA(전력구매계약)에 대해 알아봅니다.

PPA(전력구매계약)이란?

PPA(Power Purchase Agreement, 전력구매계약 또는 전력수급계약)은 발전사업자가 생산한 전력을 소비자가 직접 구매하는 계약 방식입니다. 기존에는 전력 생산자가 한국전력(한전)을 통해서만 전력을 판매할 수 있었지만, 2021년부터 기업 간 PPA가 허용되면서 변화가 생겼습니다.

이 계약은 특히 신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등) 발전에서 중요하며, 기업들은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목표 달성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PPA와 기존 전력 계약의 차이

구분 PPA 기존 전력 구매 방식
계약 주체 발전사업자 ↔ 기업(소비자) 발전사업자 ↔ 한전 ↔ 기업(소비자)
계약 형태 장기 계약(10~25년) 단기 계약 가능
가격 결정 발전사업자와 직접 협상 한전의 전력요금 체계 따름

PPA 흐름도 및 구조

PPA 계약은 다음과 같은 흐름으로 진행됩니다.

PPA 흐름도 예시

📌 PPA 기본 흐름

  1. 발전사업자(태양광, 풍력 등)와 기업이 계약 체결
  2. 발전소에서 전력 생산
  3. 전력이 직접 기업에 공급되거나 전력망을 통해 전달
  4. 기업은 발전사업자에게 대금 지급

PPA의 장점과 단점

✅ 장점

  • 신재생에너지 확대 – 태양광, 풍력 등 친환경 에너지원 확산
  • 장기적인 전기 요금 안정 – 전력 가격 변동 리스크 줄임
  • 기업의 ESG 경영 및 RE100 목표 지원

❌ 단점

  • 초기 계약 비용 부담 – 발전소 건설 및 운영 비용 존재
  • 유연성 부족 – 장기 계약으로 인해 시장 변화에 대한 대처가 어려움

각국의 PPA 사례

  • 미국 – 구글, 애플 등 대기업이 신재생에너지 PPA 적극 활용
  • 유럽 – 노르웨이, 독일 등에서 풍력 PPA 확대
  • 한국 – 2021년부터 기업 간 PPA 허용, SK·삼성·LG 등이 도입

PPA 계약 시 고려할 사항

  • 전력 가격 변동 가능성
  • 계약 기간 및 조건
  • 정부 정책 및 인센티브 여부

PPA 관련 자주 묻는 질문 (FAQ)

  • PPA 계약은 얼마나 지속되나요? – 보통 10~25년 동안 유지됩니다.
  • 소규모 기업도 PPA를 이용할 수 있나요? – 일부 국가에서는 가능하지만, 대체로 대기업 중심입니다.
  • 한국에서도 기업이 한전 없이 PPA를 체결할 수 있나요? – 2021년부터 가능해졌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