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PA(전력구매계약, 전력수급계약)란? 개념, 흐름도, 장점 및 최신 정책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와 기업의 RE100 이행을 위해 중요한 PPA(전력구매계약)에 대해 알아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itsYv/btsL8VMuzID/MKndvU2Nf8P2IJ2ru78Ogk/img.jpg)
PPA(전력구매계약)이란?
PPA(Power Purchase Agreement, 전력구매계약 또는 전력수급계약)은 발전사업자가 생산한 전력을 소비자가 직접 구매하는 계약 방식입니다. 기존에는 전력 생산자가 한국전력(한전)을 통해서만 전력을 판매할 수 있었지만, 2021년부터 기업 간 PPA가 허용되면서 변화가 생겼습니다.
이 계약은 특히 신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등) 발전에서 중요하며, 기업들은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목표 달성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PPA와 기존 전력 계약의 차이
구분 | PPA | 기존 전력 구매 방식 |
---|---|---|
계약 주체 | 발전사업자 ↔ 기업(소비자) | 발전사업자 ↔ 한전 ↔ 기업(소비자) |
계약 형태 | 장기 계약(10~25년) | 단기 계약 가능 |
가격 결정 | 발전사업자와 직접 협상 | 한전의 전력요금 체계 따름 |
PPA 흐름도 및 구조
PPA 계약은 다음과 같은 흐름으로 진행됩니다.
![PPA 흐름도 예시](ppa-flowchart.png)
📌 PPA 기본 흐름
- 발전사업자(태양광, 풍력 등)와 기업이 계약 체결
- 발전소에서 전력 생산
- 전력이 직접 기업에 공급되거나 전력망을 통해 전달
- 기업은 발전사업자에게 대금 지급
PPA의 장점과 단점
✅ 장점
- 신재생에너지 확대 – 태양광, 풍력 등 친환경 에너지원 확산
- 장기적인 전기 요금 안정 – 전력 가격 변동 리스크 줄임
- 기업의 ESG 경영 및 RE100 목표 지원
❌ 단점
- 초기 계약 비용 부담 – 발전소 건설 및 운영 비용 존재
- 유연성 부족 – 장기 계약으로 인해 시장 변화에 대한 대처가 어려움
![](https://blog.kakaocdn.net/dn/bf1cpH/btsL9MH7HOf/1tebt8yZtPGlugiTOgZ4GK/img.png)
각국의 PPA 사례
- 미국 – 구글, 애플 등 대기업이 신재생에너지 PPA 적극 활용
- 유럽 – 노르웨이, 독일 등에서 풍력 PPA 확대
- 한국 – 2021년부터 기업 간 PPA 허용, SK·삼성·LG 등이 도입
PPA 계약 시 고려할 사항
- 전력 가격 변동 가능성
- 계약 기간 및 조건
- 정부 정책 및 인센티브 여부
PPA 관련 자주 묻는 질문 (FAQ)
- PPA 계약은 얼마나 지속되나요? – 보통 10~25년 동안 유지됩니다.
- 소규모 기업도 PPA를 이용할 수 있나요? – 일부 국가에서는 가능하지만, 대체로 대기업 중심입니다.
- 한국에서도 기업이 한전 없이 PPA를 체결할 수 있나요? – 2021년부터 가능해졌습니다.
반응형
'전기는 어렵지 않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46. 2025년 UPS 법정정기검사: 필수 점검 기준과 준비 서류 총정리 (0) | 2025.02.09 |
---|---|
45. "전기자동차 vs 하이브리드 vs 내연기관 차량 비교: 연비·유지비·초기 비용까지 완벽 분석!" 🚗⚡🔋 (0) | 2025.02.07 |
43. 전력 산업에서 초격차 기술이 필수인 이유 (한전, 삼성, LG, 테슬라 투자) (0) | 2025.02.05 |
42. ESS 투자하면 돈 번다? 국내 ESS 사업 현황과 미래 전망 대공개 (1) | 2025.02.04 |
41. 나홀로 집에 케빈의 감전 함정: 실제였다면 도둑의 운명은? (3) | 2024.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