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UPS 3

47. 무정전전원장치 UPS 정기검사 대상 및 수검 필요사항(필독)

UPS(무정전 전원장치) 정기 검사 신설: 2025년 변경 사항과 점검 방법2025년부터 UPS(무정전 전원장치) 정기 검사가 의무화되었습니다. 전기안전공사(KESCO)에서 발표한 새로운 규정으로, 데이터센터, 병원, 공공기관 등의 전력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입니다.작성자 본인은.. UPS 정기검사에 대해 모르고 있다가 놓칠 뻔 한 부분 이지만, 정확한 안내가 사이트에 나와있기에, 찾으시는 분들이 많으시리라 사료되어 글을 재작성합니다.💡 왜 중요할까요?최근 UPS 배터리 노후화, 전압 불안정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서 정기 검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이번 규정 변경으로 UPS 운영자의 안전 점검 의무가 강화됩니다.UPS 정기검사는 올해, 2025년 6월 30일 까지 대상설비에 해당하면 검사를 완..

31. ALTS vs ATS vs STS! 전문가도 헷갈리는 전원 전환 장치의 차이점은?

ALTS, ATS, STS: 전원 전환 장치의 비교와 기능별 장단점ALTS, ATS, STS란 무엇인가?ALTS(Automatic Load Transfer Switch), ATS(Automatic Transfer Switch), STS(Static Transfer Switch)는 모두 전원 전환 장치로, 전력 공급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설계된 시스템입니다. 각 장치는 설계 목적, 동작 방식, 적용 분야에서 차이가 있습니다.ALTS (Automatic Load Transfer Switch)ALTS는 부하 전환 스위치로, 주로 데이터 센터, 병원 등에서 주요 부하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장치는 두 개의 전원(예: 주 전원과 예비 전원) 사이에서 부하를 자동으로 전환하며, 시스템의 안정적인 작동을..

17. 무정전전원장치(UPS): 원리, 용량 산정법과 정전 보상 시간까지!

무정전전원장치(UPS): 원리, 용량 산정법과 정전 보상 시간까지!정전에도 끄떡없는 전력 솔루션, UPS의 모든 것을 알아봅시다.무정전전원장치(UPS)란 무엇인가?무정전전원장치(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는 정전이나 전압 변동 등으로 인한 전원 장애 시 중요한 전자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갑작스러운 정전은 데이터 손실, 장비 손상 및 생산성 저하를 초래할 수 있는데, UPS는 이를 예방하기 위해 비상 전력을 공급합니다. UPS의 작동 원리UPS는 기본적으로 입력 전력을 축적하고 필요 시 출력을 통해 공급하는 시스템입니다.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정류기: 교류(AC) 전원을 직류(DC)로 변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합니다.인버터: 배터리에 저장된 직류(DC)..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