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는 어렵지 않다

47. 무정전전원장치 UPS 정기검사 대상 및 수검 필요사항(필독)

hoopen 2025. 3. 8. 15:32
반응형

UPS(무정전 전원장치) 정기 검사 신설: 2025년 변경 사항과 점검 방법

2025년부터 UPS(무정전 전원장치) 정기 검사가 의무화되었습니다. 전기안전공사(KESCO)에서 발표한 새로운 규정으로, 데이터센터, 병원, 공공기관 등의 전력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작성자 본인은.. UPS 정기검사에 대해 모르고 있다가 놓칠 뻔 한 부분 이지만, 정확한 안내가 사이트에 나와있기에, 찾으시는 분들이 많으시리라 사료되어 글을 재작성합니다.

💡 왜 중요할까요?
최근 UPS 배터리 노후화, 전압 불안정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서 정기 검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이번 규정 변경으로 UPS 운영자의 안전 점검 의무가 강화됩니다.
UPS 정기검사는 올해, 2025년 6월 30일 까지 대상설비에 해당하면 검사를 완료하여야 합니다. 

UPS 정기 검사 도입 배경

과거에는 UPS의 설치 및 유지보수만 규정되어 있었으며, 정기적인 성능 검사는 법적 기준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전력 장애로 인한 데이터 손실, 의료 장비 오작동 사례가 증가하면서 정부가 본격적으로 정기 점검 제도를 도입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전기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부칙 3조(정기검사에 관한 특례)에 따라, 기존 설치되어 운영중인 무정전전원장치(UPS)는 25년 6월 30일 까지 정기검사를 받아야합니다.
단, 소용량인(리튬계역 20kWh 이하, 납계열 70kWh 이하) UPS 는 검사 제외입니다. 본인 사업장에 기 설치되어 우영중인 UPS 가 있다면 해당 용량 잘 확인하시어 정기검사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UPS 정기 검사 주요 항목(전기안전공사 서식 참고)

UPS 정기검사 수행 시, 수검자는 아래와 같은 내용을 준비하셔야 합니다.

해당 내용들은 전기안전공사 고객마당 - 서식자료실 에 올라와 있습니다.
링크는 아래 쪽에 걸어두겠습니다.
UPS 정기검사 점검은 크게 3가지 파트로 나뉘어지며 아래와 같습니다.

🔋 공통 부분 (작성자 : 측정/시험/점검자 공통)


  • 점검 및 시험측정 총괄표
  • 저압설비(LV반) 및 보호장치 점검 기록표

⚡ 정전검사 부분(작성자 : 전기안전관리자/제조사(책임자)/기타)

  • 공조시설 설치 현황 점검기록표
  • 이차전지 설치 현황 점검기록표
  • 부대설비 현장시험성적서
  • 제어 및 보호장치 점검기록표
 
  • 설비변경 이력 점검기록표(해당 시)
 

🔧 무정전검사(작성자 : 전기안전관리자/제조사(책임자)/기타)

위 동일 위 동일
  • 공조시설 설치 현황 점검기록표
  • 이차전지 설치 현황 점검기록표
위 동일 위 동일
  • 부대설비 현장시험성적서
  • 설비변경 이력점검기록표(해당 시)
  • 전원상태 점검기록표
  • 적외선 열화상분포 측정기록

 

출처 : https://www.kesco.or.kr/bbs/selectBbs.do 한국전기안전공사 서식자료실

UPS 정기 검사 대상 및 주기

  • 검사 주기: 옥내(일반인 출입건물) 설치 또는 이차전지 용량이 1,000kWh 이상인 경우 1년마다,
                           그 이외에 설비는 2년마다 정기검사 대상
  • 대상 UPS 용량: 이차전지 종류 및 용량에 따라 나누어 짐.
                                - 리튬/나트륨계 : 20kWh 초과
                                - 납/니켈/바나듐계 : 70kWh 초
     +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가 하나 있습니다! 이부분을 놓치시면 안됩니다.
    검사 대상은 단위시스템에 설치된 이차전지 합산 용량을 기준으로 합니다.
    단위시스템이란 부하를 기준으로 운영되는 UPS 설비의 구성 단위를 뜻합니다.
    즉 동일 부하를 공급하기 위한 UPS 설비가 이중화 되어있거나, 분리가 되어있어도, 합산하여야 합니다.

    아래 사진을 참고하시면 됩니다.(한국전기안전공사 출처)


  • 검사 수수료 : 한국전기안전공사 홈페이지-고객마당-기술자료실 에 나와있는 수수료표 확인 필

 

UPS 정기 검사의 기대 효과

  • 전력 장애 예방 및 신뢰성 확보
  •  UPS 배터리 및 내부 부품의 수명 연장
  • 산업 및 의료 시설의 안정적인 전력 공급 보장
  • 법적 리스크 감소 (벌금 및 행정 조치 방지)

UPS 정기 검사 대비 방법

원활한 UPS 점검을 위해 다음과 같은 사전 준비가 필요합니다.

  • 🔍 **정기적인 자체 점검** – 이상 발생 시 조기 대응 가능
  • 🏢 **전문 업체와의 협업** – 유지보수 전문 업체를 통해 정밀 점검 수행
  • 🔋 **배터리 상태 점검** – 적정 온도 유지 및 충·방전 테스트 필수
  • 📜 **법적 요건 준수** – 전기안전공사의 가이드라인 숙지 및 사전 점검 예약

마무리

UPS 정기 검사는 전력 공급 안정성과 안전성 확보를 위한 필수적인 제도입니다. UPS를 운영하는 시설에서는 점검 계획을 철저히 수립하고, 전문 유지보수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지금부터 준비하여 UPS 정기 검사 제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