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는 어렵지 않다

48. 2025년 최신 피뢰설비 설치 기준! 낙뢰 피해 막는 법

hoopen 2025. 3. 8. 16:01
반응형

 

피뢰설비 설치 기준과 낙뢰 피해 예방 | 의무 설치 방안

낙뢰는 건물 화재, 전자 장비 손상, 정전 등의 피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피뢰설비가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국내 피뢰설비 설치 기준낙뢰 피해 예방을 위한 의무 설치 방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낙뢰 피해, 왜 대비해야 할까요?
2023년 한 산업단지에서 낙뢰로 인해 공장 가동이 중단되면서 수십억 원의 손실이 발생했습니다. 피뢰설비가 적절히 설치되지 않았다면, 데이터센터나 병원과 같은 중요한 시설에도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피뢰설비란?

피뢰설비는 낙뢰로부터 건물과 전기 설비를 보호하는 장치입니다. 낙뢰가 건물에 직접 떨어질 경우 화재, 감전, 데이터 손실 등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국내 피뢰설비 설치 기준

📌 피뢰설비 설치 의무 대상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 높이 20미터 이상의 건축물
  • 영 제118조제1항에 따른 공작물로서 높이 20미터 이상의 공작물
  • 낙뢰의 우려가 있는 건축물

📌 전기설비기술기준(KEC) 및 국제 기준(IEC 62305)

  • 데이터센터, 금융기관, 방송국 등 전력 및 IT 시스템 운영 시설
  • 산업시설, 물류센터 등 낙뢰 피해 시 경제적 손실이 큰 시설
  • 재난 대응 센터, 군사시설 등 국가 안전 관련 건축물

 

🏗️ 국내 피뢰설비 설치 기준

따라서 피뢰설비는 과연 어떤 기준으로 설치를  하여 운영해야 할까?

제20조 (피뢰설비) 영 제87조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낙뢰의 우려가 있는 건축물 또는 높이 20미터 이상의 건축물에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게 피뢰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1. 피뢰설비는 한국산업규격이 정하는 보호등급의 피뢰설비일 것. 다만, 위험물저장 및 처리시설에 설치하는 피뢰설비는 한국산업규격이 정하는 보호등급 Ⅱ 이상이어야 한다.
  2. 돌침은 건축물의 맨 윗부분으로부터 25센티미터 이상 돌출시켜 설치하되,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13조의 규정에 의한 풍하중에 견딜 수 있는 구조일 것
  3. 피뢰설비의 재료는 최소 단면적이 피복이 없는 동선을 기준으로 수뢰부 35제곱밀리미터 이상, 인하도선 16제곱밀리미터 이상, 접지극 50제곱밀리미터 이상이거나 이와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갖출 것
  4. 피뢰설비의 인하도선을 대신하여 철골조의 철골구조물과 철근콘크리트조의 철근구조체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기적 연속성이 보장될 것. 이 경우 전기적 연속성이 있다고 판단되기 위하여는 건축물 금속 구조체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전기저항이 0.2옴 이하이어야 한다.
  5. 측면 낙뢰를 방지하기 위하여 높이가 60미터를 초과하는 건축물 등에는 지면에서 건축물 높이의 5분의 4가 되는 지점부터 상단부분까지의 측면에 수뢰부를 설치할 것. 다만, 높이가 60미터를 초과하는 부분 외부의 각 금속 부재(部材)를 2개소 이상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제4호 후단의 규정에 적합한 전기적 연속성이 보장된 경우에는 측면 수뢰부가 설치된 것으로 본다.
  6. 접지(接地)는 환경오염을 일으킬 수 있는 시공방법이나 화학 첨가물 등을 사용하지 아니할 것
  7. 급수·급탕·난방·가스 등을 공급하기 위하여 건축물에 설치하는 금속배관 및 금속재 설비는 전위(電位)가 균등하게 이루어지도록 전기적으로 접속할 것
  8. 그 밖에 피뢰설비와 관련된 사항은 한국산업규격에 적합하게 설치할 것

🔧 피뢰설비의 주요 구성 요소

⚡ 피뢰침 (Lightning Rod)

  • 건물 최상부에 설치하여 낙뢰를 직접 유도
  • 건물 높이에 따라 배치 및 개수 결정

🌍 접지 시스템 (Grounding System)

  • 낙뢰 전류를 빠르게 대지로 방출
  • 접지 저항 10Ω 이하 유지 필수 (KEC 기준)

🔌 서지 보호 장치 (SPD, Surge Protective Device)

  • 전자기기 및 전력 시스템 보호
  • 전력선, 통신선, 신호선 등에 다중 보호 시스템 적용

🚀 낙뢰 피해 예방을 위한 피뢰설비 의무 설치 필요성

📍 최근 낙뢰 피해 사례

  • 📡 통신 장애: 2022년 국내 모 통신사의 기지국 낙뢰 피해로 일부 지역 통신 두절
  • 🏭 산업시설 피해: 공장 전력 장애로 가동 중단 및 손실 발생
  • 💾 데이터 손실: 낙뢰로 인한 전산 시스템 장애 보고

📢 피뢰설비 의무 설치 확대 필요

  • 🏢 고층 건물뿐만 아니라 공장, 물류센터, 주요 인프라 시설까지 확대 적용
  • 💻 데이터센터, IT 기업에 서지 보호 장치(SPD) 의무 설치
  • 🏡 농어촌 지역 및 산악 지대의 소규모 건축물에도 피뢰설비 보급 확대

🔚 결론: 안전한 전력 인프라 구축을 위한 피뢰설비 강화

낙뢰 피해는 예방할 수 있습니다. 피뢰설비 의무 설치를 확대하고, 정기적인 점검을 통해 더욱 안전한 전력 환경을 구축해야 합니다

반응형